반응형

스케치업에서는 단축키를 편집할수 있는 메뉴가 있는데요 상단메뉴에서

Window =>Preferences=>Shortcuts 에서 보면 기능에 대한 단축키를 편집할수 있습니다

또 여기에서 다른 PC에서 사용한 단축키를 불러올수 있구요(Import) 또 내보내기(Export)

하여 다른 PC에서도 단축키를 편집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기본으로 설정된 단축키를 정리하여 보았으니 단축키 필요시 참조하세요

그리기에 대한 단축키 기본설정 내용입니다.

편집기능에 대한 기본설정 내용이구요

아래는 카메라라고 되어 있는데 PC화면에 보여지는 모델을 돌리거나 확대, 축소 하여

모델을 그릴때 없어서는 안될 기능이지요

아래는 기본 저장, 열기 등인데요 이건 다른 프로그램과 유사하지요

아래는 그림을 그릴때 아주 유용하지요 잘 보시고 하나씩 연습해 보세요

위에 정리한 스케치업 단축키는 한번씩 따라해 보시면 아주 쉽게 그리고 빠른 모델링이

가능하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Dewalt 멀티 커터를 해외 직구하고 나서 110V 충전기를 220V충전 가능하도록 개조를 했다. 

www.amazon.com/gp/product/B085B253MD/ref=ppx_yo_dt_b_asin_title_o00_s00?ie=UTF8&psc=1

 

DEWALT 20V MAX XR Oscillating Tool Kit, 3-Speed (DCS356C1)

DEWALT 20V MAX XR Oscillating Tool Kit, 3-Speed (DCS356C1)

www.amazon.com

아마존 Dewalt 20V MAX XR Oscillating Tool Kit --> 가끔 $100 아래로 팔기도 하지만 $149로 구매했다.
원화로 약 167,774원(환율: 1126원) 구성품 대비 가격이 저렴하지만 110V 충전기가 온다는게 아쉽다. 

 

아래는 개조를 하면서 참고한 블로그들이다.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onbi98&logNo=221420097933

 

DCB107 220V로 개조하기

기본적으로https://m.blog.naver.com/naminu/221151589338위의 블로그님것을 참조했네요. 부품에 대한 설명...

blog.naver.com

richnam.com/379

 

디월트 DCB107 110v 충전기를 220v 충전기로 개조해 보자

미국 블랙프라이데이때 구입한 디월트 전동공구는 당연히(?) 110v 충전기가 들어 있다. ㅎㅎ; 우리나라에서 사용할려면 당연히 도란스를 사용해서 충전기를 사용해야 하지만, 이미 능력있는 선도

richnam.com

m.blog.naver.com/naminu/221151589338

 

[잡정보]디월트 충전기 개조기 Dewalt DCB107 개조와 개선사항...기타 충전기들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본 글은 커뮤니티 뽐뿌에 기재하였습니다.이미지가 깨지거나 그러면 해당 하단 링크 참조 바랍니다. http:/...

blog.naver.com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onbi98&logNo=221420097933

 

DCB107 220V로 개조하기

기본적으로https://m.blog.naver.com/naminu/221151589338위의 블로그님것을 참조했네요. 부품에 대한 설명...

blog.naver.com

 

 

블로그들을 참고하여 개조에 필요한 부품을 주문했다. 

smartstore.naver.com/rainbowshop/products/5007873719?NaPm=ct%3Dkln7a39g%7Cci%3Dcheckout%7Ctr%3Dppc%7Ctrx%3D%7Chk%3Db6fc810cb8e4dd7aa351d26ebf616719ff32670b

 

[doitbest] 디월트 DCB107 해외직구 충전기 220v 개조 부품 (정류콘덴서,바리스터,써미스터,돼지코 ) SET

[DOITBEST] Do it Best

smartstore.naver.com

 

추가로 별 모양 드라이버 비트가 필요한데, 위 부품과 별 모양 드라이버 비트를 함께 판매하는데도 있다고한다. 나는 찾지 못해서 별모양 드라이버 비트를 별도 구매했다.(이 모양 이 비트를 앞으로 또 쓸일이 있을지 모르겠다) 구매 과정에서 재고가 없다고하여 두번이나 구매가 취소되고 주문만 꼬박 하루가 걸렸다.

 

 

위 별 비트로 케이스 나사를 풀면 아래와 같은 기판이 나온다. 빨간색 표시한 부분이 작업이 필요한 부분. 오른쪽 콘덴서 아래에 JP2 라는 점퍼선도 같이 제거한다. 
빨간색 표시 부분이 콘덴서, 점퍼선, 전원의 납 땜 부분. 인두와 흡입기로 납을 제거한 후 새로 콘덴서, 써미스터, 바리스터를 장착한다. 아래는 장착 후 사진

 

콘덴서와, 콘덴서 아래 써미스터(NTC 10D-9)
전원부 바리스터(14D431K)
다시 조립 후 충전이 정상적으로 되는것을 확인했다. 

직접 개조할 경우 부품 값으로 6000원, 별 비트(TR15) 9500원 + 각 배송비(2500 *2) = 20500원.
개조 서비스는 대충 검색해보니 약 3만 원 정도 받는다. 한 만원 정도 아낀 듯.
부품 배송, 작업의 수고스러움 그리고 시행착오 시 비용을 고려하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하지만 오랜만에 인두도 잡아보고 충전이 될 때 작은 성취감도 느껴져서 직접 개조한 것에 만족한다.

반응형
반응형

1. 노트를 정리하면서 읽는다
- 빌 게이츠는 책을 읽을 때 항상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연결 시키려고 노력합니다.
만약에 원래 알던 사실과 조금 다른 견해를 갖고 있는 걸 발견한다면 책 여백에 자신의 생각을 메모하면서 읽는다고 합니다.
- 그래서 때론 메모를 하느라 책 읽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밝혔다.
- 책에 관련된 궁금증과 의문을 적으면서 읽다 보면 책에 더 집중할 수 있고 지금 읽고 있는 책이 더 오래 기억되게 도와준다
- 즉 더 많이 쓸 수록 더 오래 기억하는 방법이다. 이걸 '정교화 리허설(elaborative rehearsal)'이라고 부르는데요,
장기기억에 있는 기존의 지식이 인출되어 유입정보와 결합이 되고, 더 깊은 수준의 정보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뜻합니다.

2. 끝까지 읽는다.
- 빌 게이츠의 독서 원칙 중 하나는 끝까지 읽는 것입니다. 그가 말하는 완독의 의미는 어떤 책이든 무조건 끝까지 읽는 것에 방점이 있지 않습니다.
- 끝까지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책, 나의 시간을 투자해도 될만한 책을 고르는 게 핵심입니다.
빌게이츠가 얼마나 까다롭게 책을 고르는지 알 수 있는 원칙이다.

3. 매일 책 읽을 시간을 정한다.
- 빌 게이츠는 책 읽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매일 정해놓은 시간을 지키는 걸 추천합니다. 그는 자기 전에 매일 책 읽는 습관이 있습니다. 거의 매일 한 시간 조금 넘게 책을 보는데요, 어떤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의지보다는 환경 설정이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 독서 습관을 들이고 싶다면 방해받지 않는 공간과 시간에서 독서 루틴을 만들어 보는 걸 추천한다.
- 어떤 행동이든 꾸준히 하기 위해서는 '습관/으로 만드는 게 중요하다. 독서 또한 마찬가지다.
- 책 읽는 습관을 들이는 건 처음에는 쉽지 않지만 조금씩 자신만의 행동 양식을 만들다 보면 습관으로 자리 잡힌다.

 

바로 이것입니다. 책을 끝낼 때까지 집중해서 매일 한 시간 정도 의식적으로 독서를 하라는 것이죠. 이 말의 의미는 빌 게이츠는 끝내지 못할 독서는 시작하지도 않는다 라고 표현한 것 아닐까요?

www.youtube.com/embed/JK1VH80Tug0"

반응형
반응형

-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하면 Oracle이니 MySQL이니 하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만을 떠올리던 시절은 이미 한참 전에 지나갔습니다. 이제는 DynamoDB, MongoDB, Redis, Cassandra, Neo4j 같은 Key-Value 스토어, 도큐먼트, 인-메모리, 그래프, Wide-칼럼, 공간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NoSQL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시스템에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을 흔하게 사용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다양한 종류의 데어터베이스 중에 시시각각 수집된 데이터를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시계열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예전에는 관계형 DB의 테이블에 저장하고 집계 쿼리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뽑았다면, 이제는 특화된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효율적인 시계열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다.

IT의 흐름상 빅데이터의 시대인 만큼, 앞으로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의 쓰임이 많아질 것 같다. AWS에서는 조만간 완전관리형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인 TimeStream을 제공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InfluxDB

: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중에서는 InfluxDB가 가장 유명하다. InfluxDB는 Go언어로 작성되었고, 2013년에 출시되었다. 마침 무스마에서도 프로젝트에 InfluxDB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번 기회에 InfluxDB를 가지고 시계열 데

설치

$brew install influxdb

 

연결하기 

$ brew services start influxdb

InfluxDB의 기본 Listening Port는 8086입니다. 아무 파라미터도 입력하지 않으면 http://localhost:8086 호스트로 연결한다.

$influx \
-precision 'rfc3339'\
-host '[호스트]' -port '[포트번호]' \
-username '[유저네임]' -password '[비밀번호; 비워두면 물어봄]'\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이름]' 

이런식으로 연결한다 
- InfluxDB에서는 명시적인 인용부호 사용을 권장한다. '...'
- 파라미터 중에서 -precision 'rfc3339'은 날짜/시간 형식을 지정한다.
- RFC3339는 ISO8601, 즉 yyyy-MM-ddTHH:mm:ss형식을 사용한다는 의미임

용어와 개념

알기 쉽도록 익숙한 RDB 용어와 비교

RDB InfluxDB
database database
table measurement
column key
PK or indexed column tag key(only string)
inindexed column field key
SET of index entries series

tag key와 field key

: 데이터베이스 단위는 똑같이 database에 대응한다. 테이블 단위는 table대신 measurement라고 하는데, 시계열 데이터베이스가 시간에 따라 측정되고 수집된 자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므로 그에 맞는 이름을 사용한 것 같다. 

column은 key라고 하는데, 여기서 tag와 field개념을 구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온습도 데이터가 들어오는 temerature_and_humidity라는 measurement가 있다고 하자, tag는 말 그대로 태그이다. tag key에는 building, room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field key는 key중에서 tag key를 제외한 나머지 key인데, 주로 측정된 값 데이터가 들어간다. 즉 여기서는 temperature, humidity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모든 measurement에는 time 키가 빌트인으로 들어간다. SQL로 비유하자면 tag 키는 WHERE절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덱스 키로 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명령

명령어 설명
use[database 이름] 현재 데이터베이스 지정
show measurements measurement(테이블) 목록 보기
show tag keys 모든 measurement의 모든 tag key 목록 보기
show field keys 모든 measurement의 모든 field key 목록 보기
show series 모든 measurement의 서로소인 tag key 튜플의 목록 보기

왠지  MongoDB CLI와 비슷한 느낌이다.

 

질의하기: SELECT
RDB에서 SQL 쓰듯이 하면 된다. 주의할 점: tag key는 타입이 string이다. tag key 값은 항상 '...'로 감싸줘야 한다.

> SELECT "temperature", "humidity" FROM temperature_and_humidity WHERE "building"='R3' AND " room" = '3690'

데이터 쓰기: INSERT

RDB와 다르게 테이블을 먼저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스키마도 없다.

그냥 measurement이름과 함께 데이터를 삽입하면 해당 이름의measurement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 INSERT [measurement 이름], [태그 이름1]=[태그 값1], [태그 이름2]=[태그 값2] [필드 이름1]=[필드 값1], [필드 이름2]=[필드 값2]

자세히 보면, 태그 키 목록과 필드 키 목록 사이에는 ,(콤마)가 없다.

예를 들면,

> INSERT temperature_and_humidity, building='R3', room=-'3609' temerature=22.5,humidit=44.5

 

time키

INSERT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서버 시간 timestamp가 time키로 저장된다.

만약 명시적으로 time을 지정해서 넣으려면(추천하는 방법 같지는 않다.)

맨 뒤에 timestamp를 지정해준다.

>INSERT temerature_and_humidity, building='R3', room='3609' temperature=22.5, humidity=44.5 1223372012341234

혹은

> INSERT temperature_and_humidity, building='R3', room='3609' temperature=22.5, humidity=44.5 2019-07-08T17:45:00.000Z

INSERT 구문과 계열 series(계열)

참고로 INSERT 바로 뒤의 [measurement 이름], [태그 이름1]=[태그 값1], [태그 이름2]=[태그 값2] 즉 measurement이름과 태그 이름 목록이 합쳐진 것이 바로 series(계열)입니다.

show series를 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모든 measureements의 series를 볼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1. Dockerfile 작성

FROM ubuntu:18.04


RUN apt-get update
RUN apt-get install -y cron
RUN apt-get install -y wget

#docker install
RUN mkdir -p /tmp     # create folder and cd to folder
WORKDIR /tmp/    
RUN wget https://golang.org/dl/go1.15.2.linux-amd64.tar.gz
RUN tar -C /usr/local/ -xzf /tmp/go1.15.2.linux-amd64.tar.gz

ENV PATH="/usr/local/go/bin:${PATH}"
ENV GOPATH="${HOME}/projects/go"
ENV PATH="${PATH}:${GOPATH}/bin"

CMD sleep 100000&&
#bin/bash

2. Docker build

sudo docker build --tag ubuntu:0.1 .

3. Docker image run

sudo docker run -d -it --name ubuntu_test ubuntu:0.1

4. Docker hub에 image push하기

sudo docker push hoseog/ubuntu:0.1

5. Docker hub에서 이미지 가져오기

docker pull <image name>:<tag>
docker pull hoseog/ubuntu:0.1

 

6. Docker stop 

sudo docker stop 7dd8254b0262
반응형
반응형
<for>
func superAdd(numbers ...int) int {
	total := 0
	for _, number := range numbers {
		total += number
	}
	return total
}

func main(){
	superAdd(1,2,3,4,5)
}

<if else>
func canIDrink(age int) bool {
	koreanAge := age + 2
	if koreanAge <18 {
		return false
	}
	return ture
}

<array>

func main() {
	names := []string{"nico", "lynn", "dal"}
	names = append(names, "flynn")
	fmt.Println(names)
}

<Maps>

func main() {
	nico := map[string]string{"name":"nico", "age":"12"}
	for key, value := range nico {
		fmt.Println(key, value)
	}
}

<Struct>

type person struct {
	name string
	age int
	favFood []string
}

func main(){
	favFood := []string{"kimchi", "ramen"}
	nico := person{name: "nico", age:18, favFood: favFood}
	fmt.Println(nico.name)
}

<Url Checker>
package main

import (
	"errors"
	"fmt"
	"net/http"
)

var errRequestFailed = errors.New("Request failed")

func main() {
	var results = make(map[string]string)
	urls := []string{
		"https://www.airbnb.com/",
		"https://www.google.com/",
		"https://www.amazon.com/",
		"https://www.reddit.com/",
		"https://www.google.com/",
		"https://soundcloud.com/",
		"https://www.facebook.com/",
		"https://www.instagram.com/",
		"https://academy.nomadcoders.co/",
	}
	for _, url := range urls {
		result := "OK"
		err := hitURL(url)
		if err != nil {
			result = "FAILED"
		}
		results[url] = result
	}
	for url, result := range results {
		fmt.Println(url, result)
	}
}

func hitURL(url string) error {
	fmt.Println("Checking:", url)
	resp, err := http.Get(url)
	if err != nil || resp.StatusCode >= 400 {
		fmt.Println(err, resp.StatusCode)
		return errRequestFailed
	}
	return nil
}

<Go routines>
import (
	"fmt"
	"time"
)

func main() {
	go sexyCount("nico")
	sexyCount("flynn")
}

func sexyCount(person string){
	for i :=0; i < 10; i++{
		fmt.Println(person, "is sexy", i)
		time.Sleep(time.Second)
	}
}

--> go routine은 main function이 돌아가는 동안에만 유효하다. 
--> main function 은 go routine이 완료되길 기다려주지 않는다.

<Channel>
func main(){
	c := make(chan bool)
	people := [2]string{"nico", "flynn"}
	for _, person := range people {
		go isSexy(person, c)
	}
	for i:=0;i<len(people);i++{
		fmt.Println(<-c)
	}

}

func isSexy(person string, c chan bool){
	time.Sleep(time.Seconds * 5)
	c <- true
}

<Url Check with go routine>
package main

import (
	"errors"
	"fmt"
	"net/http"
)

type requestResult struct {
	url    string
	status string
}

var errRequestFailed = errors.New("Request failed")

func main() {
	results := make(map[string]string)
	c := make(chan requestResult)
	urls := []string{
		"https://www.airbnb.com/",
		"https://www.google.com/",
		"https://www.amazon.com/",
		"https://www.reddit.com/",
		"https://www.google.com/",
		"https://soundcloud.com/",
		"https://www.facebook.com/",
		"https://www.instagram.com/",
		"https://academy.nomadcoders.co/",
	}
	for _, url := range urls {
		go hitURL(url, c)
	}

	for i := 0; i < len(urls); i++ {
		result := <-c
		results[result.url] = result.status
	}

	for url, status := range results {
		fmt.Println(url, status)
	}

}

func hitURL(url string, c chan<- requestResult) {
	resp, err := http.Get(url)
	status := "OK"
	if err != nil || resp.StatusCode >= 400 {
		status = "FAILED"
	}
	c <- requestResult{url: url, status: status}
}

반응형

'Tech >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wget download  (0) 2021.03.11
golang 환경설정  (0) 2020.10.12
반응형

[Ubuntu에 설치]

1. 일반적인 apt를 이용하면  go 10버전이 깔림 11이상의 버전이 필요한 경우 직접 설치

- go 설치
sudo apt-get install golang

- GOPATH 설정
mkdir -p ~/projects/go
cd ~/projects/go
export GOPATH=$HOME/projects/go

- /etc/profile수정
sudo vi /etc/profile

마지막 줄에 추가
export PATH=/usr/local/go/bin:$PATH
export GOPATH=$HOME/projects/go
export $PATH:$GOPATH/bin

- 설치 확인
go env

- test program (hello.go)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fmt.println("Hello, World")
}

- 실행
go run hello.go

  

2. 직접 설치

1. 다운로드
wget https://golang.org/dl/go1.15.2.linux-amd64.tar.gz

2. unzip & copy lib
sudo tar -C /usr/local/ -xzf go1.15.2.linux-amd64.tar.gz

3. GOPATH 설정
sudo vi /etc/profile
(마지막 줄에 추가)
export PATH=/usr/local/go/bin:$PATH
export GOPATH=$HOME/projects/go
export $PATH:$GOPATH/bin

 

반응형

'Tech >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wget download  (0) 2021.03.11
go lang 기초  (0) 2020.10.19
반응형

Linux Netfilter, iptables

  • Linux안에 있는 Netfilter Framework를 분석하고 Netfilter를 이용하는 iptables tool을 분석한다.

1. Netfilter

  • Netfilter는 Linux를 위한 Network Packet Filtering Framework이다. Linux Application은 Netfilter를 통해서 Linux Kernel로 전달되는 Packet을 변환 및 조작할 수 있다.

1.1 Hooks

    1. NF_IP_PRE_ROUTING: 외부에서 온 Packet이 Linux Kernel의 Network Stack을 통과하기 전에 발생하는 Hook이다. Packet을 Routing하기 전에 발생
    1. NF_IP_LOCAL_IN: Packet이 Routing된 후 목적지가 자신일 경우, Packet을 Process에 전달하기 전에 발생
    1. NF_IP_FORWARD: Packet이 Routing된 후 목적지가 자신이 아닐 경우, Packet을 다른 곳으로 Forwarding하는 경우 발생
    1. NF_IP_LOCAL_OUT: Packet이 Process에서 나와 Network Stack을 통과하기 전 발생
    1. NF_IP_POST_ROUTING: Packet이 Network Stack을 통과한 후 밖으로 보내기 전 발생

1.2 시나리오

    1. 목적지가 자신일 경우: NF_IP_PRE_ROUTING -> NF_IP_LOCAL_IN -> Process
    1. 목적지가 자신이 아닌경우: NF_IP_PRE_ROUTING -> NF_IP_FORWARD -> NF_IP_POST_ROUTING -> Network Interface
    1. Process에서 전송하는 Packet: NF_IP_LOCAL_OUT -> NF_IP_POST_ROUTING -> Network Interface

2. iptables

  • iptables는 Netfilter Framework를 이용하는 대표 Tool이다.
  • iptables를 이용하여 Packet을 제어하거나 조작할 수 잇다.

2.1 tables

  • fileter Table: packet을 drop할지 전달할지 결정
  • NAT table: Packet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위한 table. packet의 source/destination address를 변경
  • Mangle Table: Packet의 IP header를 바꿈. Packet의 TTL 변경, Marking하여 다른 iptables의 Table이나 Network tool에서 Packet을 구분 할 수 있도록 함
  • Raw Table: Netfilter Framework는 Hook 뿐만 아니라 Connection Tracking 기능을 제공한다. 이전에 도착한 Packet들을 바탕으로 방금 도착한 Packet의 Connection을 추적한다. Raw Table은 특정 Packet이 Connection Tracking에서 제외되도록 설정한다.
  • Security Table: SELinux에서 Packet을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기 위한 Tableimg
반응형
반응형

Istio 구성요소 및 기능

  • Istio 동작 원리를 이해한다.

구성요소

Control Plane

Pilot

  • envoy에 대한 설정 관리
  •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능 제공(서비스들의 엔드포인트들의 주소를 얻을 수 있는 기능)
  • 서비스에서 서비스로 호출하는 경로를 컨트롤
  • retry, Circuit breaker, Timeout등의 기능 제공

Mixer

  • 액세스 컨트롤, 정책 통제 그리고 모니터링 지표 수집
  • 서비스의 총 처리량 이상으로 요청을 못받게 하거나 특정 헤더값이 일치해야 요청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등의 다양한 정책을 정의 및 컨트롤 가능
  • 서비스의 응답시간, 평균 처리량 등 지표 수집 및 저장

Citadel

  • 보안에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
  • 사용자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를 담당
  • pod간 통신을 TLS 암호화를 위한 인증서 관리 역할 수행

Data plane

envoy proxy

  • 서비스 옆에 붙여서 사이드 카 형식으로 배포
  • evoy는 서비스들의 IP 주소를 컨트롤 플레인의 Pilot 컴포넌트를 통해 확인(service discovery)

기능

트래픽 제어(Traffic control)

  • 트래픽 분할: canary test(새로 배포된 버전에 10% 기존 버전에 90% 식의 Test)
  • 컨텐츠 기반 트래픽 분할: 패킷 내용(HTTP header의 User-agent 필드에 따라, Client 모델)에 따라 라우팅 가능

서비스 안정성(Resilience)

  • health check: 대상 서비스가 여러개의 pod로 구성되어있으면 이를 로드밸런싱하고, 서비스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상태 체크를 하고 장애가 나면 자동으로 서비스에서 제거한다.
  • 서비스 디스커버리: 서비스의 위치를 pilot을 통해서 ip를 알아냄
  • Retry, Timeout, Circuit breaker: 서비스간의 호출 안정성을 위해서 재시도 횟수를 통제할 수 있다. 일정시간 이상 응답이 오지 않으면 에러처리를 할 수 있고 Circuit breaker패턴을 지원

보안

  • 통신보안: envoy를 통해서 통신하는 모든 트래픽을 자동으로 TLS를 이용해서 암호화한다. 서비스간 통신이 디폴트로 암호화 된다.(citadel)
  • 서비스 인증과 인가: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제공, 서비스와 클라이언트를 직접 인증할 수 있다.
  • 서비스간 인증: 서비스간 인증은 양방향 인증(Mutual TLS)을 이용하여 서비스가 서로를 식별하고 인증
  • 서비스와 사용자간 인증: 엔드유저 즉 사용자 Client를 JWT 토큰을 이용해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Client를 인증할 수 있다.
  • 인가를 통한 권한 통제: 서비스 접근 권한 통제 가능, 사용자나 서비스는 각각 사용자 계정이나 쿠버네티스 서비스 어카운트로 계정이 정의되고 각각 Role을 부여해서 역할 기반 서비스 접근 제어를 할 수 잇다.

모니터링

  • 서비스간 호출 시 트래픽은 envoy 프록시를 통하게 되고, 응답 시간과 서비스의 처리량이 Mixer로 전달
  • 전달된 Mixer의 logging backend에 저장됨
  • Mixer의 logging backend: 플러긴형태로 가능(Bluemix, stackdriver, aws, prometheus, heapster, datadog ... )
반응형

'Tech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_Architecture  (0) 2020.07.01
반응형

1. kubernetes 구성 module 요약

1.1 All Node

1.1.1 kubelet

  • 모든 노드에서 Daemon으로 동작
  • kube-apiserver로부터 명령을 받아 OCI Runtime Spec을 준수하는 Container Runtime을 통해 Pod를 제어
  • (대표적인 Container Runtime으로 containerd가 있다.)
  • CNI plugin을 통해서 생성한 Pod의 Network를 설정하는 역할도 수행
  • MasterNode의 kubelet은 kube-apiserver, kube-controller-manager, kube-scheduler pod를 관리하는 역할도 수행

1.1.2. kube-proxy

  • kubernetes의 Service를 cluster 내부나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proxy server역할 수행
  • iptables 또는 ipvs를 제어하는 역할1.1.3. network daemon
  • kube-apiserver로부터 정보를 얻어와 pod사이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Node의 network를 설정
  • host network namespace에서 동작하고 network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node의 network 설정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 CNI plugin에 따라 network daemon이 결정
    • flannel의 flanneld, calico의 calio-felix, cilium의 cilium-agent가 network daemon임

1.2. Master Node

Master Node는 Kubernetes Cluster를 관리하는 Node

1.2.1. etcd

  • etcd는 분산 key-value storage로 kubernetes cluster관련 data를 저장
  • master node가 다수일 경우 etcd cluster를 구성
  • etcd cluster에서는 Raft 알고리즘을 통해서 유지됨
  • data가 변경될 경우 해당 data를 감시하고 있는 client에게 data변경 event를 전달하는 watcher 기능을 제공
  • watcher 기능을 이용하여 kubernetes cluster는 etcd cluster를 event bus처럼 이용하기도 함

1.2.2. kube-apiserver

  • kubernetes를 제어하는 rest api server
  • etcd와 통신하는 유일한 구성요소
  • cluster 관련 data를 저장하거나 etcd의 data 변경 event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kube-api서버를 이용해야함
  • kubernetes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kube-apiserver와 통신함

1.2.3. kube-controller-manager

  • Object: Pod, Deployments, Statefulset, Configmap 등이 kubernetes에서 정의한 Object
  • kube-controller-manager는 이러한 controller들을 관리한다.
  • kube-apiserver를 통해서 제어하려는 Object의 상태정보를 얻어거나 Object를 제어한다.

1.3. Worker Node

사용자가 배포한 Application이 동작하는 NodeQ

1.3.1. coredns:

  • pod안에서 다른 pod의 ip를 찾을 수 있는 DNS 역할을 수행
  • service ip도 언제든 바뀔 수 있기 때문에 -> pod안에서 service ip를 찾을 수 있게 함

1.3.2. CNI(Container Network interface) Plugin

  • pod의 Network를 설정할 때 이용함

2. Terms

  • OCI Runtime Spec
  • Container Runtime

3. Furder works

반응형

'Tech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tio 구성요소 및 기능  (0) 2020.07.01
반응형

안드로이드의 다양한 Notification 종류와 구현 방법

https://codechacha.com/ko/notifications-in-android/

반응형

'Tech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me/pi/contents/2020/[done]20200218_외부_앱_실행  (0) 2020.02.20
Time Tracker Privacy policy  (0) 2020.02.15
반응형
케라스(keras) 기본 개념
- 케라스의 가장 핵심적인 데이터 구조는 "모델"이다.
- 케라스에서 제공하는 시퀀스 모델로 원하는 레이어를 쉽게 순차적으로 쌓을 수 있다. 

케라스 모델링 순서
1. 데이터 셋 생성하기
- 원본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데이터를 생성한다.
- 데이터로부터 훈련셋, 검증셋, 시험셋을 생성한다.
- 이 때 딥러닝 모델의 학습 및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포맷 변환을 한다.

2. 모델 구성하기
- 시퀀스 모델을 생성한 뒤 필요한 레이어를 추가하며 구성
- 좀 더 복잡한 모델이 필요할 때는 케라스 함수 API 를 이용한다.

3. 모델 학습과정 설정
- 학습하기 전, 학습에 대한 설정을 수행한다.
- 손실 함수 및 최적화 방법을 정의
- 케라스에서는 compile 함수를 사용한다.

4. 모델 학습시키기
- 훈련셋을 이용하여 구성한 모델로 학습시킨다.
- 케라스에서는 fit() 함수를 사용한다.

5. 학습과정 살펴보기
- 모델 학습시 훈련셋, 검증셋의 손실 및 정확도를 측정한다.
- 반복 횟수에 따른 손실 및 정확도 추이를 보면서 학습상황 판다.

6. 모델 평가
- 준비된 시험셋으로 학습한 모델을 평가한다.
- 케라스에서는 evaluate()함수를 사용한다.

7. 모델 사용하기
- 임의의 입력으로 모델의 출력을 얻는다.
- 케라스에서는 predict() 함수를 사용한다.

????
- 케라스 시퀀스 모델
- epochs=5: 총 5번 훈련
- batch_size=128: 한번에 128개씩 훈련
( network.compile(optimizer='rmsprop', loss='categorical_crossentropy', metrics=['accuracy'])
- 손실함수: 훈련 데이터에 대해 얼마나 신경망이 잘 맞아들어가고 있는지 측량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조정하는 척도
- 최적화: 신경망이 받은 데이터와 손실 함수에 기반하여 스스로를 업데이트하는 매커니즘
- 매트릭: 훈련 및 시험 중에 모니터링할 측정값
반응형
반응형
안드로이드 앱에서 다른 앱을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해당 앱이 설치되어있는지 체크-> 아래 메소드는 com.example.testapp이라는 패키지명으로 시작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체크해서 있다면 true를 리턴한다.

public boolean getPackageList(){
	boolean isExist = false;
	PackageManager pkgMgr = getPackageManager();
	List mApps;
	Intent mainIntent = new Intent(Intent.ACTION_MAIN, null);
	mainIntent.addCategory(Intent.CATEGORY_LAUNCHER);
	mApps = pkgMrg.queryIntentActivities(mainIntent, 0);

	try{
		for(int i = 0; i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앱스토어로 이동
 Intent intent = getPackageManager().getLaunchIntentForPackage("com.example.testapp");
 intent.addFlags(Intent.FLAG_ACTIVITY_NEW_TASK);
startActivity(intent);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앱스토어로 이동
String url = "market://details?id="+"com.example.testapp";
Intent i = new Intent(Intent.ACTION_VIEW, Uri.parse(url));
startActivity(i)

google calendar의 packageName: com.google.android.calendar
marketplace : market://details?id=com.google.android.calendar


반응형

'Tech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ification 잘 정리된 글  (0) 2020.04.11
Time Tracker Privacy policy  (0) 2020.02.15
반응형

1.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https://cognitive.tistory.com/’이하 ‘hs’) 은(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있으며,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하지 않습니다.
- 고객 가입의사 확인, 고객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물품 또는 서비스 공급에 따른 금액 결제, 물품 또는 서비스의 공급.배송 등


2.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https://cognitive.tistory.com/’이하 ‘hs’) 은(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구체적인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래 예시를 참고하여 개인정보 처리업무와 개인정보 처리업무에 대한 보유기간 및 관련 법령, 근거 등을 기재합니다.
(예시)- 고객 가입 및 관리 : 서비스 이용계약 또는 회원가입 해지시까지, 다만 채권․채무관계 잔존시에는 해당 채권․채무관계 정산시까지
- 전자상거래에서의 계약․청약철회, 대금결제, 재화 등 공급기록 : 5년 

3. 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방법 이용자는 개인정보주체로써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① 정보주체는 hs(‘https://cognitive.tistory.com/’이하 ‘hs) 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요구
2.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4. 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작성 

 ('https://cognitive.tistory.com/'이하 'hs')은(는) 다음의 개인정보 항목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1
- 필수항목 : 이메일
- 선택항목 : 




5. 개인정보의 파기('hs')은(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처리목적이 달성된 경우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파기의 절차, 기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기절차
이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목적 달성 후 별도의 DB에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따라 일정기간 저장된 후 혹은 즉시 파기됩니다. 이 때, DB로 옮겨진 개인정보는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파기기한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보유기간의 종료일로부터 5일 이내에,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5일 이내에 그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에 관한 사항

hs 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7.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작성 


① hs(‘https://cognitive.tistory.com/’이하 ‘hs) 은(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성명 :이지석
직책 :직원
직급 :직원
연락처 :01059391224, hoseog@gmail.com,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로 연결됩니다.

▶ 개인정보 보호 담당부서
부서명 :
담당자 :
연락처 :, , 
② 정보주체께서는 hs(‘https://cognitive.tistory.com/’이하 ‘hs) 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hs(‘https://cognitive.tistory.com/’이하 ‘hs) 은(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지체 없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8. 개인정보 처리방침 변경 

①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되며, 법령 및 방침에 따른 변경내용의 추가, 삭제 및 정정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사항의 시행 7일 전부터 공지사항을 통하여 고지할 것입니다.



9.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hs')은(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관리적 및 물리적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정기적인 자체 감사 실시
개인정보 취급 관련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정기적(분기 1회)으로 자체 감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직원을 지정하고 담당자에 한정시켜 최소화 하여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3.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의 안전한 처리를 위하여 내부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4.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hs>('hs')은 해킹이나 컴퓨터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 및 훼손을 막기 위하여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을 하며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하고 있습니다.

5. 개인정보의 암호화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비밀번호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되고 있어, 본인만이 알 수 있으며 중요한 데이터는 파일 및 전송 데이터를 암호화 하거나 파일 잠금 기능을 사용하는 등의 별도 보안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6.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을 최소 6개월 이상 보관, 관리하고 있으며,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 사용하고 있습니다.

7.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변경,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으며 침입차단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무단 접근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8. 문서보안을 위한 잠금장치 사용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류, 보조저장매체 등을 잠금장치가 있는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9.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로 두고 이에 대해 출입통제 절차를 수립, 운영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Tech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ification 잘 정리된 글  (0) 2020.04.11
/home/pi/contents/2020/[done]20200218_외부_앱_실행  (0) 2020.02.20
반응형

1. L2 스위치

- L2 스위치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스위칭 방식으로 다른 방식의 스위치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 L2 주소는 MAC 주소를 뜻한다. 즉 L2 스위치의 역할은 MAC 주소를 읽어 스위칭을 하고, 이것을 어떤 포트로 보낼 것인지 스위칭하는 장비를 말한다.

- 스위치는 MAC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을 기준으로 패킷을 해당 포트로 전달한다.

- 하지만 라우팅이 불가능 하며,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을 이용한 스위칭이 불가능하다.

 

2. L3 스위치(라우팅)

- L3 스위치는 IP 또는 IPX ㅈ소를 읽어서 스위칭을 한다. 

- 네트워크상에 흘러가는 패킷이 들어오면 L3 스위치는 목적이 IP 주소를 보고 적절한 포트로 패킷을 전송(라우팅) 한다.

- 즉  A라는 IP는 어느 방향으로 가고 B는 IP는 어느 방향으로 가게 하는 라우팅을 할 수 있다. 

 

3. L4 스위치

- L4 스위치는 TCP/UDP 프로토콜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므로 TCP와 UDP의 포트를 보고 적절한 서버로 패킷을 전송한다.

- 즉, L4 주소는 포트번호를 뜻하며 여기서 포트번호는 웹 80, ftp는 20/21번, 텔넷은 23번 이런 것을 뜻한다.

- 그리고 똑같은 IP에 대하여 포트번호가 다를 경우 다른 서버로 보낼 수 있다.

- 이런식으로 하나의 IP이지만, L4주소(포트번호) 별로 따로따로 분배하여 보낼 수 있다.

- 또한 L4 스위치는 로드밸런싱 기능이 지원된다. L4 장비의 VIP(Virtual IP)를 통해, 요청받은 작업을 여러 개의 서버로 분산시킬 수 있다. 

- 그리고 Failover 기능이 지원된다. 한 대의 서버가 VIP를 통해 서비스를 하다가, 어떤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되면 자동으로 다른 서버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4. L7 스위치

- L7은 어플리케이션 영역이다.

- L7 스위치는 L4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패킷의 IP, PORT 정보뿐만 아니라 패킷의 URL 정보, 쿠키, 플레이 로드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검사하여 사용자별로 연속적이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L4 스위치의 문제점: VoIP나 P2P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패킷 내용을 살펴보기 어렵고 사용자의 IP가 수시로 변경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 L7 스위치는 L4 스위치가 갖고 있는 기능들을 모두 수용하면서, 불필요한 트래픽에 대한 차단이나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을 완화시켜 준다.

- 높은 레이어 스위치가 가격이 비싸고 각각의 스위치는 자기보다 낮은 레이어 스위치 기능까지 다 할 수 있다. 즉 L7 스위치가 L4, L3, L2 기능을 다 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2019-09-03(화요일)

 

 

 

[Key Word]

Titan : 

Project Zero: 하드웨어 밴더를 믿지 않는다. 하드웨어단에서 새로 점검

DLP: Data Loss Prevention(DLP) API: 들어오는 데이터에서 PID나 카드번호 같은 것들을 자동적으로 마스킹하거나 암호화함

    - 카드번호와 유사한지 폰넘버와 유사한지 확률적으로 알아내서 안전하게 보관함

Access Transparency

    - 내가 학습시킨 데이터를 구글이 가져다 쓰지 않을까?

    - 유저 데이터는 청크 단위로 암호화 저장되어 구글은 확인 할 수 없음

pricing

    - sustained use discounts: 2주부터는 쓰면 쓸수록 할인됨

custom machine type을 제공: 사용량에 따라 타입을 사용자가 정할 수 있음

    - 5일 정도 사용하면 자동으로 추천을 해줌

preemptible VMs: 80%할인된 가격으로 제공, 대신에 24시간 뒤에는 자동으로 내려감

[big query demo]

- https://bigquery.cloud.google.com 

[network]

- google edge pod 에서 2홉만에 목적지 DC까지 감(vs 15 홉 정도 소요)

[cloud IAM]

https://

GSP002

Qwiklabs

[compute engine]

- NW: 2Gbps per core, 16Gbps per VM

- Live Migration: 서버 점검시 무정지 상태로 다른 물리머신으로 이동 시킨후 점검

정기 점검으로 인한 다운 타임이 없음(3~4ms 정도 튐, 인지 못함, 수동 트리거 시킬 수 있음)

- Sole Tenancy: Bare metal은 아님, dedicated된 resource 사용을 보장함

- limit: vcpu:up to 96, GPU: upto 8, RAM: up to 624GB, HDD/SDD: upto 16, 64TB total,  local ssd: 375GB each, upto 3TB 

%azure, google은 kvm(kernel based virtual machine)으로 구성, AWS는 zen based vm --> kvm으로 옮겨갈 예정

- persistent disks

    - regional disk: zone 이 공동사용할 수 있는 disk생성 가능, DB HA 구성에 사용, 한쪽은 rw, 한쪽은 read (linux disk io 제약사항)

- disk 스로틀링 없어서 disk에 할당된 io capa 모두 사용할 수 있음

- vpc 베이스로 방화벽 설정함

[virtual private cloud network]

- 단일 anycast IP를 사용한 글로벌 부하 분산기

- 서브넷은 지역(region) 단위로 구축 가능

- 소프트웨어 정의 라우터

- 쉽게 네트워크 공유 및 피어링(peering) 가능

- 유연한 방화벽 규칙

- 프로젝트당 글로벌 네트워크 최대 5개

- pre-warming 필요없음(하드웨어 대역폭을 바로 사용가능)

- VPN: 

- Interconnect(Direct connect)

- Direct Peering

- Shared VPC: Cross Project Network

   -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같은 네트워크로 통합 가능

   - 프로젝트별로 과금, 사용량 통제 가능

- 역할 분할 가능 (운영부서: {네트워크 정의, 방화벽 통제, 로드밸런서 설정, 라우팅 경로 설정}, 각서비스 개발팀:{VM 생성, 오토스케일링}

- VPC당 15000개 vm limit

- Global load balancing: single VIP, Global Reach

 

 

반응형
반응형

EJB: Enterprise JavaBeans, 기업환경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측 컴포넌트 모델이다. 즉, EJB는 어플리케이션의 업무 로직을 가지공 있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이다. EJB 사양은 Java EE의 자바 API중 하나로, 주로 웹 시스템에서 JSP는 화면 로직을 처리하고, EJB는 업무 로직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EJB는 다음 3가지 종류가 있다. 

- 세션 빈(Session Bean): DB연동이 필요 없음

- 엔티티 빈(Entity Bean): 

  -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객체

  - Insert(삽입), Update(수정), Delete(삭제), Select(조회)

  - DB관련 쿼리는 자동으로 만들어지고 개발자는 고급 업무 처리에 집중할 수 있음

  - DB가 수정되면 코드 수정 없이 다시 배포(설정 문서 만들어서 복사)

- 메시지 구동 빈(Message-drive Bean): JMS로 빈을 날려줌


JTA: JAVA Transaction API,  플랫폼마다 상이한 트랜잭션 매니저들과 어플리케이션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다. JAVA에서 제공되는 대부분의 API와 마찬가지로, JTA는 실제 구현은 다르지만 어플리케이션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말은 트랜잭션 처리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API의 사용 방식 그대로만 사용한다면) 특정 벤더의 트랜잭션 매니저에 의존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Atomikos와 같이 JTA 구현체들을 오픈소스로 제공하는 벤더들도 있고, IBM 같이 JTA 구현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한 부분으로 제공하는 벤더들도 있다. 

JTA의 구현체를 사용할 때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뭔가 잘 못 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믿기 어렵겠지만 J2EE 호환됨'이라고 검증을 받은 어플리케이션 서버들도 트랜잭션 관리를 제대로 지원하지 않거나 가상적으로만 지원할 수도 있다. 


XA: eXtended Architecture, 동일한 전역 트랜잭션(Global Transaction)내에서 몇 개의 백엔드 데이터 저장소에 접근하기 위한 X/Open 그룹 표준의 하나이다. XA표준 규격은 하나의 트랜잭션 매니저가 어떤 트랜잭션의 한 부분으로 어떤 작업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데이터베이스에 통보하는 방식과, 각 트랜잭션이 완료될 때 2단계 커밋(2 Phase Commit)을 수행되는 방식을 관장한다. 또 데이터 저장소에서 지연되고 있는 트랜잭션을 회복시키는 방법도 포함하고 있다. 

XA의 장점: XA 역시 하나의 표준이기 때문에, 모든 호환되는 데이터 저장소(혹은 드라이버)들이 전역(분산) 트랜잭션의 부분으로서의 트랜잭션 매니저와 연동할 수 있다. 다른 말로, 2단계 커밋이 고려되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XA는 트랜잭션 매니저와 데이터 저장소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말이다. 이것이 Atomikos와 같은 솔루션들이 Oracle이나 Sysbase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커밋과 롤백 등의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유이다. 


JMS: 자바 메시지 서비스(Java Message Service; JMS)는 자바 프로그램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자바 API이다.

자바 메시지 서비스는 API는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클라이언트 간 메시지 통신을 위한 자바 메시지 기반 미들웨어 API( 자바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MOM) API)이다. JMS는 자바 플랫폼,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에 포함되어 있으며, 자바커뮤니티 프로세스의 JSR 914로 개발된 명세서에 의해 정의된다. 자바 메시지 서비스는 자바 플랫폼,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에 기반을 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들끼리 메시지를 생성, 송/수신, 읽기 기능을 제공하는 메시징 표준이다. 분산된 애플리케이션끼리 느슨하게 연결해주고 신뢰성을 보장하며, 비동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반응형

'Tech > Soft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 구분(L2, L3, L4, L7)  (0) 2019.09.03
Google Cloud Essential Workshop  (0) 2019.09.03
java jvm core dump  (1) 2018.12.30
sorting algorithm  (0) 2018.12.13
HTTP Status Code List  (0) 2018.12.13
반응형

Core dump

- 리눅스에서 gcore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서 코어 덤프를 남길 수 있다. 

- JVM은 hs_err_pid.log라는 파일을 남기고 죽는다. 

- java에서 1GB의 메모리를 사용하면 코어 덤프는 수십기가에 달하는 파일을 생성한다. 

- 아무 근거 없이 죽었다면 kill -9 <pid>로 죽었거나 segfault와 같이 프로세스 내의 오류로 죽은 경우

    --> /var/log messages 로그를 봐야한다. 

- JVM에서 Thread Dump는 현재 수행중인 쓰레드에 대한 호출 경로 StackTrace를 보기 위한 것이고 Heap Dump는 현재 Heap에서 점유되고 있는 객체들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내역


1. 코어덤프 자동으로 생성하게 만들기

- ulimit -a 명령어로 서버 설정을 확인한다. 

- core file size (blocks, -c) 0 <-- 이처름 0이면 core dump는 안남는다. 

- ulimit -c unlimited <-- core dump를 남기도록 변경


2. Core dump 분석하기

- gdb 프로그램 사용하면

- gdb / 자바실행파일 Full path /java core.pid <-- 실행

-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이 툴을 사용할 수 있다. 


3. 명령어

- bt

- info thread

- thread 쓰레드번호

- where

- x/i 메모리 주소값


[Thread dump]

4. 기타

- jstack / 자바실행파일 fullpath/java core.pid <-- core dump에서 쓰레드 덤프를 추출해준다. 

- jmap <-- core dump에서 힙 덤프를 만들 수 있다. 


5. Thread dump

- 명령: kill - 3 <pid>

- <pid>: jvm의 process Id


6. JVM 스레드 덤프 가져오는 방법

- 스레드 덤프를 2개 이상 가져오는 것이 좋다.

- 정기적으로 10개의 스레드 덤프를 가져오는 것이 좋다. 


6-1 1단계 JAVA 프로세스에서 PID가져오기

- jps -l 70660 sun.tools.jps.Jps 70305

- Linux및 Unix에서 이 명령을 sudo -u user jps -l로 실행해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user는 java 프로세스에서 실행중인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임

- ps -el |grep java


6-2 JVM에서 스레드 덤프 요청

- jstack -l <pid>

- 콘솔 출력 리디렉션을 사용하여 파일로 연속 스레드 덤프를 출력하거나 지시문을 첨부할 수 있음

  --> jstack -l <pic> >> threaddumps.log

     --> sudo -u <java-user> jstack -l <pid>

- Xrs jvm 매개 변수가 활성화되어 있어도 jstack이 작동함

- sudo -u <java-user> jstack -l <pid>


6. 스레드 덤프로 확인할 수 있는 상황

- 모든 시스템에 응답이 없을 때

- 사용자 수가 많지 않은데 cpu 사용량이 높을 때

- 특정 어플리케이션 수행 시 응답이 없을 때

- 서비스 실행시간이 길어질 수록 응답시간이나 CPU 사용량이 늘어날 때 등등

- java.lang.Thread를 이용해서 직접개발하지 않았는데 이미 프레임워크, WAS, 라이브러리 내부적으로 사용하고 있을 때 내부적으로 문제가 생긴다면?


7. Thread의 종류

7-1. Deamon Thread

  - 작업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쓰레드(GC도 여기에 해당)

        - 프로세스 종료 시 데몬 스레드는 강제적으로 자동 종료

        - 언제든지 종료가 되어도 상관없는 작업 시에 사용(그래서 주로 데몬쓰레드를 쓴다.)

        - Thread t = new Thread(); t.setDaemon(thue); 로 설정가능

7-2. Non-Daemon Thread

   - 실제 주 작업을 하는 스레드

        - 프로세스 종료 시 논 데몬 쓰레드가 살아있는 경우 종료 불가능(가끔 톰캣을 종료했지만 안꺼져서 kill 해야되는 이유)

        - 매우 중요 데이터 처리시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8. Thread 읽기

    - 

- 스레드 이름

   - lang.Thread 클래스로 생성하면 'Thread-숫자' 형식으로 생성됨

   - DefaultThreadFactory를 사용하면 pool-숫자-thread-숫자 형식으로 생성된다. 

   - 하지만 이런 디폴트 이름들로 쓰레드가 가득하다면 덤프를 읽기가 매우 힘들다.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을 직접할 경우 setName을 이용해서 직관적인 스레드명을 써주는게 좋다. 

- 우선순위: 스레드 우선순위(스펙에서도 안중요하다고 함)

- 스레드 아이디

    - 16진수

 - tid: 자바레벨 쓰레드ID, 자바프로세스마다 1부터 시작. 겹칠 수 있겠다.

- nid: 네이티브 쓰레드 ID, OS영역이고 유니크함

    - ps 명령어를 이용해 CPU사용율 등도 알 수 있음


- 스레드 상태

    - runnable

    - blocked

    - deadlock

    - wait

- 스레드 콜스택


9. 스레드 덤프의 각종 도구

- JVisualVM

    -jdk 설치할 때 같이 설치되므로, 환경변수가 잘 잡혀있다면 jvisualvm이라고 치면 바로 뜬다.

- TDA

    - Thread Dump Analyzer

    - 오래되고 jvm 별로 포맷이 달라 안읽히는 경우도 있음

- fastThread 사이트

    - fastthread.io


[heap dump]

10. heap

    - JVM GC 블로깅에서 Old 영역을 많이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객체들이 Reference되어 GC되지 않고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때는 어떤 객체들이 많이 점유되고 있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 Old 영역을 많이 점유하고 있으면 Full GC가 자주 오래동안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업무 응답시간에 문제 또는 장애를 일으킬 소지가 있다. 

    - JDK6 명령: jmap -dump:format=b, file=<fileName> <PID>

    - jmap은 JDK_HOME/bin에 포함되어있음


11. Heap Dump의 분석

    - Eclipse Memory Analyzer Tool(mat) 을 이용한다. 

    - 독립 프로그램 다운로드:  Heap Dump Size는 몇 Gbytes씩 되므로 64bit OS에서 64bit mat를 다운로드 받는다.

    - memoryAnalyzerTool.ini파일의 초기값 설정을

      + ex) -Xms2048m -Xmx8192m (heap Dump file size 6Gbytes 일때)

               -XX; MaxPerm Size=256m

               -Xms40m

               -Xm x512m

    - mat에서 Heap Dump 파일을 로딩한다. 이 때 파일 확장자는 .hprof여야 한다. 6Gbytes로딩에 대략 수시간이 소요되니 인내심이 필요하다.

    - mat통하여 Heap Dump 분석할 때 로컬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Swap Size를 확장하여 준다. 

반응형

'Tech > Soft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 구분(L2, L3, L4, L7)  (0) 2019.09.03
Google Cloud Essential Workshop  (0) 2019.09.03
EJB, JTA, XA, JMS  (0) 2019.03.09
sorting algorithm  (0) 2018.12.13
HTTP Status Code List  (0) 2018.12.13
반응형

1. 버블 정렬 ( Bubble Sort )


- 과정

인접한 두 개의 데이터를 비교해가며 정렬을 진행한다.

가장 크기가 큰 값 ( 또는 정렬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값 ) 을 맨 뒤로 보내고,

그 다음으로 크기가 큰 값을 맨 뒤에서 두번째로 보내고.. 이 과정을 반복한다.


- 시간 복잡도

데이터의 수가 n 개일 때,

제일 처음 비교 횟수 : n-1

그 다음 비교 횟수 : n-2

(n-1) + (n-2) .... + 2 + 1 = n(n-1)/2 =  O(n⌒2)


2. 선택 정렬 ( Selection Sort )


- 과정

가장 크기가 작은 값 ( 또는 정렬의 우선 순위가 가장 큰 값 ) 을 선택해서 가장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원래 그 자리에 있던 데이터는 빈 자리에 가져다 놓는다.


- 시간 복잡도

데이터의 수가 n 개 일때, ( 배열이니까 0~ n-1 )

제일 처음 비교 횟수: 1에서 n-1까지 보니까 n-1

그 다음 비교 횟수: 2에서 n-1 까지 보니까 n-2

(n-1) + (n-2) .... + 2 + 1 = n(n-1)/2 =  O(n⌒2)


** 버블 정렬과 시간 복잡도는 똑같지만, 데이터의 이동 횟수에는 차이가 있다.

데이터의 교환이 이뤄질 때

temp = A;

A = B;

B = temp;

이므로, 총 3번의 연산이 일어난다.

선택 정렬의 경우 안쪽 for문 바깥쪽에서 이 연산이 일어나고, 버블 정렬의 경우  안쪽 for문의 안쪽에서 이 연산이 일어난다.

따라서 데이터 이동 횟수의 시간 복잡도는, 선택 정렬은 O(n)이고 버블 정렬은 O(n⌒2) 이다.


** 그러나 버블 정렬의 경우 최선의 경우에는 단 한번의 데이터 이동도 발생하지 않으나, 선택 정렬의 경우 최악이나 최선이나 데이터 이동이 같다.

따라서 버블 정렬이나 선택 정렬이나 우열을 가릴 수 없다.


3. 삽입 정렬 ( Insertion Sort )


- 과정

정렬이 완료된 부분과 완료되지 않은 부분으로 나눈 후, 정렬 안된 데이터를 정렬 된 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삽입한다.

정렬이 완료된 영역 다음의 데이터가 정렬해야할 데이터이므로,

만약 정렬해야할 데이터의 위치가 k 라면,  k-1 위치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자신이 더 작으면 k-1의 데이터를 k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 k-2의 데이터와 비교하고, 만약 k-2보다 자신이 크다면  k-1의 위치에 정착한다.

= 데이터를 한 칸씩 뒤로 밀면서 내가 들어갈 자리를 찾는다.


- 시간 복잡도

최악의 경우 모든 데이터를 보고 모든 데이터를 비교하며 이동시켜야하므로

1 + 2 + .... + (n-1) = n(n-1)/2 =  O(n⌒2)


4. 힙 정렬 ( Insertion Sort )


- 과정

힙의 루트 노드에 저장된 값이 가장 커야 한다는 특성을 힙의 루트 노드에 저장된 값이 정렬 순서상 가장 앞선다는 특징을 갖도록 하여 정렬에 이용한다.

데이터를 모두 힙에 넣은 후, 히벵서 다시 데이터를 꺼낸다.


- 시간 복잡도

힙의 데이터 저장 시간 복잡도와 삭제 시간 복잡도는 O(log n)이다.

n개의 데이터가 있을 때 총 n 개의 데이터를 삽입 및 삭제해야 하므로 O(n log n)이다.


5. 병합 정렬 ( Merge Sort )


- 과정

데이터가 1개만 남을 때 까지 분할을 한다.

다시 데이터를 합칠 때,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묶는다.



- 시간 복잡도

데이터의 수가 n 개일때, 각 병합 단계마다 최대 n번의 비교연산이 진행된다.

데이터가 8개일 때, 병합은 3번 진행되고, 16개일때, 병합은 4회 진행된다.

병합 과정의 횟수는 log n 이다.

따라서 시간 복잡도는 O(n log n) 이다.


6. 퀵 정렬 ( Quick Sort )


- 과정

가장 처음 값을 피벗으로 잡는다.

a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피벗보다 큰 값을 만날때까지 이동하고,  

b: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피벗보다 작은값을 만날때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그 값을 교환한다. 만약 a와 b가 교차하게 되면 ( a>b)가 되면 탐색을 멈추고, b와 피벗을 교환한다.

-> 이 과정을 통해  피벗의 왼쪽에는 피벗보다 작은 값들만, 오른쪽에는 피벗보다 큰 값들만 있게 된다.

그리고 피벗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을 나누어 재귀적으로 진행한다.


사실 피벗이 가장 중간값이라면 제일좋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 만약 이미 잘 정렬되있는 배열을 돌린다면, 1부터 n-1까지의 값들이 순서대로 피벗이 되어 정렬을 하게 된다.

중간 값을 찾는 알고리즘이 있긴 하지만 오히려 그거 때문에 성능이 더 나빠져서 실제로는 안쓴다고 한다.

그냥 세 개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중에 중간 값을 피벗으로 선택하는 것이 ....



- 시간 복잡도

하나의 피벗이 자신의 자리를 찾아가기 위해 n번의 비교 연산이 진행된다.

그리고 분할은 총 log n 번 진행된다. ( 피벗이 중간값인 경우 )

따라서 시간 복잡도는 O(n log n)


** 피벗이 중간 값일 때를 최선의 경우라 생각할 수 있지만, 퀵 정렬의 경우 예외적으로 중간에 가까운 피벗을 선택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최선에 가까운 성능을 평균적으로 보인다고 한다. 

** 병합 정렬과 시간 복잡도는 같지만, 별도의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실제로 가장 빠르다.



7. 기수 정렬 ( Radix Sort )


- 소개

기수 정렬은 비교 연산을 하지 않고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의 길이가 제한적일 수 있다.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0,8,3,5,4의 데이터를 비교한다면, 크기 10짜리의 배열의 인덱스의 그 값을 넣고 ( arr[8] = 8 이런식 ) 그냥 배열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면 되는 것...

하지만 이를 좀 바꾸어서, 3자리 수의 데이터 비교를 5개의 버킷(공간)을 가지고 정렬할 수 있다. 이를 LSD 기수 정렬(Least Significant Digit)라고 하며, 덜 중요한 자리 수인 일의자리수 부터 정렬을 진행해 나간다는 것이다.


- 과정

데이터: 134, 224, 232, 122


일의자리수 기준으로 하여 순서대로 버킷에 넣는다.

버킷 2: 122, 232 ( -> 넣은 순서)

버킷 5: 224, 134

현재 상태 : 232, 122, 134, 224 ( 꺼낼때는 먼저 넣은 것부터 )


십의 자리수 기준으로 버킷에 넣는다.

버킷2: 224, 122

버킷3: 134, 232

현재 상태 : 122, 224, 232, 134


백의 자리수 기준으로 버킷에 넣는다.

버킷 1: 134, 122

버킷 2: 232, 224

현재 상태 : 122, 134, 224, 232


** MSD 기수 정렬 (Most Significat Digit)은 가장 중요한 자리수, 큰 자리수부터 정렬을 진행한다. 이 정렬의 가장 큰 장점은 중간에 정렬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끝까지 가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중간에 정렬이 완료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끝까지 정렬할 시 정렬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중간에 데이터를 점검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 모든 데이터에 일괄적 과정을 거칠 수 없다 ) 따라서 이를 해결할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는데 이게 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


- 시간 복잡도

비교연산이 아닌 데이터의 삽입과 추출이 핵심 연산이다.

가장 긴 데이터의 길이만큼 반복하고, 정렬대상의 수 만큼 버킷에 데이터를 삽입하고 추출한다.

데이터의 길이(l) x 데이터의 수(n) = O(ln) = O(n)

반응형

'Tech > Soft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 구분(L2, L3, L4, L7)  (0) 2019.09.03
Google Cloud Essential Workshop  (0) 2019.09.03
EJB, JTA, XA, JMS  (0) 2019.03.09
java jvm core dump  (1) 2018.12.30
HTTP Status Code List  (0) 2018.12.13
반응형

1xx Informational response

100 Continue
101 Switching Protocols
102 Processing (WebDAVRFC 2518)
103 Early Hints (RFC 8297)

2xx Success

200 OK

201 Created

202 Accepted
203 Non-Authoritative Information (since HTTP/1.1)
204 No Content
205 Reset Content
206 Partial Content (RFC 7233)
207 Multi-Status (WebDAV; RFC 4918)
208 Already Reported (WebDAV; RFC 5842)
226 IM Used (RFC 3229)

3xx Redirection

300 Multiple Choices

301 Moved Permanently

302 Found (Previously "Moved temporarily")
303 See Other (since HTTP/1.1)
304 Not Modified (RFC 7232)
305 Use Proxy (since HTTP/1.1)
306 Switch Proxy
307 Temporary Redirect (since HTTP/1.1)
308 Permanent Redirect (RFC 7538)

4xx Client errors


400 Bad Request
401 Unauthorized (RFC 7235)
402 Payment Required
403 Forbidden
404 Not Found
405 Method Not Allowed
406 Not Acceptable
407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RFC 7235)
408 Request Timeout
409 Conflict
410 Gone
411 Length Required
412 Precondition Failed (RFC 7232)
413 Payload Too Large (RFC 7231)
414 URI Too Long (RFC 7231)
415 Unsupported Media Type
416 Range Not Satisfiable (RFC 7233)
417 Expectation Failed
418 I'm a teapot (RFC 2324RFC 7168)
421 Misdirected Request (RFC 7540)
422 Unprocessable Entity (WebDAV; RFC 4918)
423 Locked (WebDAV; RFC 4918)
424 Failed Dependency (WebDAV; RFC 4918)
426 Upgrade Required
428 Precondition Required (RFC 6585)
429 Too Many Requests (RFC 6585)
431 Request Header Fields Too Large (RFC 6585)
451 Unavailable For Legal Reasons (RFC 7725)

5xx Server errors

500 Internal Server Error
501 Not Implemented
502 Bad Gateway
503 Service Unavailable
504 Gateway Timeout
505 HTTP Version Not Supported
506 Variant Also Negotiates (RFC 2295)
507 Insufficient Storage (WebDAV; RFC 4918)
508 Loop Detected (WebDAV; RFC 5842)
510 Not Extended (RFC 2774)
511 Network Authentication Required (RFC 6585)

Unofficial codes

103 Checkpoint
218 This is fine (Apache Web Server)
419 Page Expired (Laravel Framework)
420 Method Failure (Spring Framework)
420 Enhance Your Calm (Twitter)
450 Blocked by Windows Parental Controls (Microsoft)
498 Invalid Token (Esri)
499 Token Required (Esri)
509 Bandwidth Limit Exceeded (Apache Web Server/cPanel)
526 Invalid SSL Certificate
530 Site is frozen
598 (Informal convention) Network read timeout error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440 Login Time-out
449 Retry With
451 Redirect
444 No Response
494 Request header too large
495 SSL Certificate Error
496 SSL Certificate Required
497 HTTP Request Sent to HTTPS Port
499 Client Closed Request

520 Unknown Error

521 Web Server Is Down
522 Connection Timed Out
523 Origin Is Unreachable
524 A Timeout Occurred
525 SSL Handshake Failed
526 Invalid SSL Certificate
527 Railgun Error
530 Origin DNS Error


반응형

'Tech > Soft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 구분(L2, L3, L4, L7)  (0) 2019.09.03
Google Cloud Essential Workshop  (0) 2019.09.03
EJB, JTA, XA, JMS  (0) 2019.03.09
java jvm core dump  (1) 2018.12.30
sorting algorithm  (0) 2018.12.13

+ Recent posts